지난 시간에는 유럽에서 발전하게 된 허브가든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오늘 이 시간은 유럽의 허브가든의 종류와 발전과 그 형태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특히 유럽의 허브가든은 중세 수도원을 중심으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수도원을 거점으로 다양한 형태와 규모로 허브가든이 발전했음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1. 수도원의 허브가든
중세의 모든 정원은 수도원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최초의 크리스토교 수도원은 기원 후 305년에 안토니우스 수도사에 의해 이집트 북부의 엘 파이움에 만들어졌습니다. 안토니우스 수도사는 울타리가 있는 작은 정원을 만들고 필요한 급수시설을 만들어 정원의 식물재배에 활용했습니다. 수도원에 식물재배가 완전히 뿌리를 내리게 되어 모든 수도원에 식물 재배의 풍조가 생기게 된 것은 기원후 519년이었습니다.
이탈리아 몽테카 지니(Montecassino)에 성 베네딕토가 베네딕트회를 설립하고 대 수도원을 만들었는데, 수도원의 하루일과 중 식물재배가 두 번째 중요 일과로 자리 잡힐 만큼 그 중요성과 위상이 커졌습니다.
이는 그 당시 헬레니즘 사회의 노동관에 비교해 보면 엄청난 혁명과 같았습니다. 헬레니즘 사회에서는 노동을 천한 노예의 일로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베네딕토 수도사는 1세기 전 학승(學僧)이었던 성 제롬이 "땅을 괭이로 일구고, 양배추를 길러라."라는 가르침을 발전시켜 채소, 과일, 포도, 허브, 염료식물 및 방향식물을 재배하도록 자세히 지시하였습니다.
수도원으로부터 시작된 허브가든의 형태는 9세기 스위스 베네딕트회의 수도원인 성 갤(St. Gall)에서 만들어진 설계도를 보면 그 형태를 좀 더 자세히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크게 3 구역으로 나누어 1 구역과 2 구역은 수도원 본 건물과 교사, 객사, 병사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3 구역은 축사, 농사, 공방을 이루고 있었으며 허브가든도 3 구역에 속해 있었습니다.
수도원에는 라벤더, 세이지, 로즈메리 같은 아름답고 건강에 좋은 허브 화단을 16개를 만들었으며, 정원의 한쪽에는 채소와 허브를 기를 수 있는 밭을 조성했는데 약 18 구획 정도에 해당되었습니다.
2. 유럽의 허브가든 종류
유럽의 허브가든은 그 목적과 형태에 따라 놀랍도록 다양한 모습을 보입니다. 각각의 허브가든은 고유한 특징과 깊은 역사적 배경을 지니고 있어, 단순한 식물 재배 공간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정원형 허브가든은 유럽에서 가장 전통적이고 대표적인 허브가든 형태입니다. 이러한 정원들은 대부분 기하학적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세심하게 정리된 구획에 다양한 허브를 배치합니다. 중세 수도원 정원에서 시작된 이 정원 형태는 점차 귀족 저택과 궁전으로 확산되었습니다. 각 구획은 대칭적이고 질서 정연한 모습을 띠며, 미학적 아름다움을 동시에 추구했습니다.
약용 허브가든은 유럽에서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또 다른 중요한 허브가든 유형입니다. 중세 수도원의 약초원에서 시작된 이 허브가든은 의학적 목적으로 다양한 허브를 재배하고 연구했습니다. 당대의 의사들과 약초학자들은 이곳에서 각 허브의 치료 효과를 탐구하고 약재를 제조했습니다. 라벤더, 로즈메리, 세인트존스워트 등 다양한 허브들이 질병 치료와 건강 증진을 위해 정성스럽게 재배되었습니다.
식용 허브가든은 요리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또 다른 흥미로운 허브가든 형태입니다.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요리 문화에서 특히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러한 허브가든에서는 바질, 타임, 오레가노, 파슬리 등 다양한 허브를 재배하여 요리의 풍미를 높이고 음식의 맛을 풍부하게 만들었습니다. 주로 부엌 근처나 주택의 뒤뜰에 조성되어 신선한 허브를 손쉽게 수확할 수 있게 했습니다.
각각의 허브가든은 단순한 식물 재배 공간을 넘어 문화적, 실용적 의미를 깊이 내포하고 있습니다. 정원형, 약용, 식용 허브가든은 모두 유럽의 풍부한 문화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오랜 세월 동안 발전해 왔습니다. 이러한 다양성은 허브가든이 단순한 정원을 넘어 삶의 본질적인 부분임을 증명합니다.
1) 정원형 허브가든
유럽의 허브가든 중에서도 정원형 허브가든은 독특하고 매혹적인 공간으로 깊은 역사를 자랑합니다. 이러한 정원은 단순한 식물 재배 공간을 넘어 예술적이고 기능적인 의미를 동시에 지니고 있습니다. 정원형 허브가든의 핵심은 대칭과 기하학적 배치에 있으며, 각 허브의 위치와 배치를 세심하게 계획했습니다.
2) 약용 허브가든
인류 역사에서 허브의 치유적 재배와 활용은 오랜 전통을 자랑합니다. 약용 허브가든은 단순한 식물 공간을 넘어 인간의 건강과 복지를 지원하는 중요한 치유 공간입니다. 이 정원들은 수세기 동안 의학적, 약리학적 지식을 담아내는 살아있는 박물관과 같은 역할을 해왔습니다.
중세 수도원의 약초원은 당시 수도사들이 병든 이들을 돌보는 필수적인 공간이었습니다. 그들은 각 허브의 특별한 치유력을 깊이 이해하고, 허브의 뿌리부터 잎, 꽃, 씨앗까지 세심하게 관찰하고 활용했습니다. 예를 들어, 캐모마일은 진정 효과를, 세인트존스워트는 우울증 치료를, 에키네시아는 면역력 강화에 사용되었습니다.
약용 허브가든의 허브들은 각각 고유한 치료적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라벤더는 불안감을 줄이고 수면의 질을 개선하며, 로즈메리는 기억력 향상과 혈액순환에 효과적입니다. 세이지는 소화기 문제를 완화하고, 타임은 호흡기 질환에 탁월한 효과를 보입니다. 이러한 허브들은 현대 의학에서도 여전히 중요한 연구 대상입니다.
약용 허브가든의 또 다른 중요한 측면은 지속 가능한 의료 실천입니다. 합성 의약품과 달리, 허브는 자연적이고 부작용이 적은 치료 방법을 제공합니다. 현대 의학과 전통 허브 치료의 통합은 전인적 의료 접근법을 만들어,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총체적으로 다룰 수 있게 해 줍니다.
중세 유럽 수도원을 기점으로 발전하게 된 약용 허브가든은 오늘날 많은 현대 약용 허브가든이 교육적 목적에 중점을 둘 수 있게 해 주었습니다. 따라서 방문객들은 각 허브의 특성, 재배와 수확, 건조 및 저장 방법 등을 배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공간은 단순한 식물원을 넘어 생태학, 의학, 문화유산을 아우르는 살아있는 학습 공간으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약용 허브가든은 우리에게 자연과의 조화, 전통적 지식의 중요성, 지속 가능한 치유 방법을 상기시켜 줍니다. 이는 단순한 식물 재배 공간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의 깊은 상호연결성을 보여주는 생명력 넘치는 공간입니다. 앞으로도 약용 허브가든은 우리의 건강과 웰빙을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계속할 것입니다.
3) 식용 허브가든
유럽의 식용 허브가든은 요리의 풍미와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수세기 동안 요리사들과 가정부들은 이 특별한 정원에서 다양한 허브를 재배하며 음식의 맛과 영양을 풍요롭게 만들어왔습니다. 각 허브는 고유한 향과 맛,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하여 요리에 깊이와 복합성을 더해줍니다.
대표적인 식용 허브 중 하나인 바질은 지중해 지역에서 특히 인기 있는 허브로, 이탈리아 요리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재료입니다. 파스타 소스, 피자, 카프레제 샐러드 등에 사용되며 생생하고 상큼한 향을 더해줍니다. 이 허브는 단순히 요리의 맛뿐만 아니라 항산화 성분이 풍부해 건강에도 도움을 줍니다.
로즈메리는 또 다른 중요한 식용 허브로, 고기 요리와 감자 요리에 특히 잘 어울립니다. 강렬하고 향긋한 향은 구이 요리나 스튜에 깊은 풍미를 더해줍니다. 지중해 요리에서 자주 사용되는 로즈메리는 소고기, 양고기, 닭고기 요리에 완벽한 허브입니다. 또한 항염증 효과와 소화를 돕는 특성을 가져 건강에도 좋습니다.
타임은 프랑스 요리에서 매우 중요한 허브입니다. 수프, 스튜, 고기 요리에 사용되며 독특하고 강한 향을 제공합니다. 특히 프로방스 지방 요리에서 빼놓을 수 없는 허브로, 허브 드 프로방스라는 혼합 허브의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타임은 항균 및 항바이러스 특성을 지녀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유럽의 식용 허브가든은 단순한 정원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이는 요리 문화와 건강, 전통이 만나는 장소입니다. 요리사들은 신선하고 향긋한 허브를 직접 정원에서 수확하여 요리에 활용함으로써 음식의 맛과 영양을 극대화합니다. 또한 이러한 정원은 지속 가능한 농업과 건강한 식생활의 상징이기도 합니다.
이렇듯 현재의 허브가든에도 중세 유럽의 허브가든은 그 영향을 많이 미치고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나라별 허브가든과 허브가든에 주로 서식하고 있는 허브의 종류들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식물의 두 얼굴 약초와 독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사를 바꾼 식물 허브가든의 문화적 의미 (0) | 2025.03.21 |
---|---|
세계사를 바꾼 식물 유럽의 전통 허브 (0) | 2025.03.20 |
세계사를 바꾼 식물 성경 속에 등장하는 허브(1) (0) | 2025.03.17 |
세계사를 바꾼 약용 식물_ 중세 유럽인들의 허브 사용 (0) | 2025.03.16 |
세계사를 바꾼 식물_고대인들이 사랑한 허브와 약용식물 (0) | 2025.03.15 |